Let Your Thoughts Flow
영야성하, 주렴옥막, 대몽귀리 - '24 하반기 최신 중드 찍먹 감상 본문
나 원 참 언제부터 드라마를 이렇게 열심히 챙겨봤다고... 암튼 2024년 11월 유쿠, 텐센트, 아이치이에서 방영 중인 드라마 세 편을 찍먹 중이라 간단하게 감상 남겨본다. 정보글은 네이버 등에 검색하면 매우 매우 많기 때문에 나는 어디까지나 감상 위주로만 적는다.
영야성하
판타지 로맨스 | 우서흔, 정우혜 주연 | WETV, MOA

애정하는 작가의 신작 소설에 크게 실망한 능묘묘는 악플 한 번 달고는 그대로 소설 속 세계에 들어간다. 묘묘는 이 세계에서 서브여주 임우가 되어, 현실세계로 돌아가기 위한 미션을 수행해야 한다. 바로 소설 속 서브남주인 모성을 유혹하여 사랑에 빠지게 만드는 것. 착요사 모성은 누나 모요만을 맹목적으로 따르지만 다른 사람들에겐 잔인할 만큼 냉정하며 특히 모요를 질투하며 해치려 한 ‘빙의 전 임우’를 굉장히 싫어한다. 과연 묘묘는 호감도가 바닥을 찍은 상태의 모성을 공략할 수 있을까?
<영야성하>는 소설 속 악녀 서브여주에 빙의한 주인공이 소설 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설 속 흑막, 서브남주 모성을 공략하며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우서흔과 정우혜가 현대극 <월광변주곡> 이후 <창란결>, <칠시길상> 제작진과 호흡을 맞춰서 화제가 되었다. 사실 시작 전엔 좀 주저했는데, <창란결> 초반 우서흔의 목소리와 소란화라는 캐릭터에 적응하지 못해서 몇 번이나 튕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영야성하>는 매우 만족스럽고, 그 이유는 무조건 우서흔과 정우혜다.
우서흔의 '묘묘'는 너무 귀엽다. 밝고 명랑하지만 철없지 않고 마음의 상처도 있고 진중하다. 아버지와 소중한 사람을 잃지 않기 위해 애쓰고, 위기에 빠진 사람들을 외면하지 않는다. '햇살여주' 묘묘의 여러 모습에 적응이 되고 나니 상황에 따라 목소리 톤이 바뀌는 건 캐릭터 구현을 위한 배우의 기술처럼 보인다. 정우혜도 <칠시길상> 이후 리즈를 갱신한 비주얼로 '모성'을 매력적으로 그려낸다. 특히 반요라는 걸 묘묘에게 들킬 때 두려워하고, 요괴이지만 버림받거나 미움받지 않는다는 사실에 순해지는 모습을 표정만으로 그려내는데, 이것만으로도 '와 연기 잘한다'라는 감탄이 저절로 나온다. 두 사람이 함께 등장하는 신은 발랄하든 진지하든 호흡이 잘 맞고 매끄럽게 느껴진다. 그리고 드라마는 이렇게 호흡이 잘 맞는 두 배우를 철저히 활용하며, 그들이 사건을 해결하든 감정을 공유하든 그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한다. 그래서 묘묘의 엉뚱 발랄 공략도, 모성의 마음의 벽이 허물어지는 것도 실감 나게 느껴진다. 지금 모성의 호감도가 50%인데, 과연 100% 일 때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기대된다.
<영야성하>는 게임 요소를 더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원래 드라마에 게임 요소를 넣는다거나 소설에 빙의한다거나 하는 설정들을 그렇게 좋아하는 편이 아닌데, <영야성하>는 지금까지 드라마라는 매체를 위한 적절한 선을 지키고 있다. 게임 요소는 드라마가 이런 세계관에 바탕하고 있다...라는 점을 잊어갈 때 한 번씩 조용하게 등장하기 때문에 거슬리지 않는다.
11월 6일 (VIP 회원 기준) 현재 12편까지 공개되었으며, 위티비에서 시청 가능하다(자막 퀄리티 나쁘지 않다). 또한 모아에서 11월 25일부터 패스트트랙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주렴옥막
고장 로맨스 | 조로사, 류우녕, 당효천 주연 | YOUKU

진주 채취장의 노예 단오는 매일 목숨을 걸고 진주를 따면서 언젠가는 지옥 같은 이곳에서 벗어나길 꿈꾼다. 거상들이 진주 채취장을 방문한 날, 단오는 큰 진주를 판매하는 자리에 불려 나가 그곳에서 서역 상인 연자경과 경성의 신진 관료 장진연을 만난다. 채취장에 사고가 벌어지며 단오는 그곳에서 탈출해 연자경의 상단에 의탁한다. 단오는 어떻게든 기회를 잡아 돈을 벌고 자유를 얻으려 일거리를 찾아 나서고, 자경은 무모할 만큼 적극적인 단오를 자신의 속셈에 따라 이용하면서도 혹독히 훈련시킨다. 진연은 순수하고 열정적인 단오가 돈에 사로잡혀 자경처럼 계략에 몰두하는 인물이 될까 염려한다. 두 사람의 관심과 격려 속에 단오는 장사를 배우고 진주 등 귀금속을 취급하는 거상으로 성장한다.
<주렴옥막>은 노예 소녀가 보석 상인으로 성장하는 스토리로, 여성 성장 서사와 복수, 로맨스 등 흥미로운 소재를 버무렸다. 조로사와 류우녕이 함께 출연해 <장가행> 호도낙언 커플이 오랜 시간이 지나 주연으로 만난 것으로 화제가 됐다. 공개 전후로 이런저런 홍보마케팅 이슈로 입방아에 올랐지만 반도의 일개 시청자가 그것까지 주목할 필요는 없을 것 같고요. 11월 6일 현재 (VIP 기준) 13화까지 공개되었고, 지금까지는 복잡하지만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40회 중 초반인 11화까지는 생존이 우선이었던 '단오'가 좁은 진주 채취장을 벗어나 상회에 적응하는 과정, 멸문한 가문의 복수를 위한 연자경의 미스터리한 행동, 정도를 추구하는 장진연의 행보가 함께하거나 충돌하며 꽤 팽팽한 긴장감을 만들어냈다. 그 이후엔 단오의 출생 관련 내용이 공개되고 연자경과의 오랜 인연이 드러나면서 당분간 단오의 성장과 함께 단오, 자경의 로맨스에 초점이 맞춰질 듯하다. 조로사와 류우녕의 케미는 지금까지 꽤 괜찮다. 바른생활 선비를 연기하는 당효천도 캐릭터와 착붙이다.
<주렴옥막>은 유쿠 국제판에서 감상 가능하며, 11월 8일부터 한국어 자막 서비스를 시작했다. 실제 에피소드 공개일과 일주일 정도 차이를 두고 업데이트되는 것 같다. 혹시 한글자막이 없어서 망설였던 분들은 지금 당장 시작해 보시길. 한국 방영권은 중화TV가 확보했다. 2025년 3월 방영 예정.
대몽귀리
고장 판타지 | 후명호, 진도령, 전가서, 성소 주연 | iqiyi

요괴와 인간이 공존하는 세상. 인간에게 해를 입히는 요괴를 잡는 게 업무이지만 지금은 그 세력이 거의 전무한 기관 '집요사'에 대요괴 주염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가 집요사에게 도움을 주겠다고 한다. 그는 백택신녀이지만 신력이 없는 문소, 자신의 손에 아버지와 형, 동료를 잃은 착요사 탁익신, 어리지만 의술에 뛰어난 백구, 집요사의 라이벌인 승무영 출신의 배사정과 팀을 이뤄 요괴가 얽힌 사건을 해결하러 나선다. 함께 여행하고 일하며 주염은 문소가 신력을 회복하고, 익신이 탁씨 가문의 비기 운광검을 제대로 익히고, 사정에겐 세상을 떠난 동생과 화해하고, 어린 백구가 의지할 만한 사람을 찾도록 돕는다. 하지만 주염과 집요사를 노리는 음모는 갈수록 악랄해지고, 그 뒤에 주염의 오랜 친구인 회나무 요괴 이륜이 있음이 드러난다. 그러면서 천하에 적수가 없는 3만 4천 살 흰원숭이 대요괴 주염이 그토록 죽음을 바라는 이유가 드러난다.
중국 고전 <산해경>의 요괴들을 바탕으로 한 오리지널 판타지 드라마. <운지우>로 보여준 특유의 미감 덕분에 호불호 감독으로 꼽히는 궈징밍이 각본과 연출을 맡았다. 요괴와 사람이 협력해 세계에 닥친 어려움을 해결하는 팀 어드벤처 스토리가 메인이지만, 자신의 본성을 뛰어넘지도, 이해받지도 못하는 요괴들의 슬픔, 요괴의 존재를 이용하거나 두려워하는 사람들, 요괴와 인간의 갈등으로 소중한 이들을 잃은 사람들의 복수와 진실 게임까지 다양한 이야기가 전개된다. 11월 6일 현재 전체 34화 중 17화가 방영되며 1부가 마무리되었기에, 2부에서 어떤 이야기가 전개될지 기대하고 있다.
궈징밍이 유명한 이유는 특유의 미감이다. 잘생긴 배우는 더 잘생기게, 아름다운 배우는 더 아름답게 그리는 그만의 미감. 역시 명성답게 후명호, 진도령, 전가서, 성소, 옌안 등등 여러 배우들의 비주얼은 정말 놀라울 정도다 (잘생긴 후명호가 더 잘생기게 나온다. 이게 가능한가.) 어두운 화면, 느릿느릿한 대사 처리, 역동적인 액션 시퀀스, 코드에 맞으면 피식 웃게 되는 유머 등 여기저기에 궈징밍의 인장이 진하게 박혀 있다. 전작 <운지우> 출연진 다수가 주연 또는 특별 출연한 점도 눈에 띈다. 난 <운지우>는 결국 탈주했지만 <대몽귀리>는 꽤 재미있게 보고 있는데, 아무래도 감독의 '추구미'와 '요괴 판타지'라는 소재와 잘 맞기 때문인 듯하다. 현실성을 싸악 지운 미감은 오히려 이야기에 신비감을 더하고, 캐릭터도 '캐릭터'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취향에 맞다면 바로 이야기에 빠져들게 만든다.
다만 지금까지 단순한 이야기를 복잡하게 풀고, 온갖 비주얼 요소로 집중을 흩뜨려놔 이야기가 산재된 걸 느끼지 못하게 만드는 건 맞다. 주염이 집요사에 등장한 순간부터 그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지 않으면 그가 무엇을 원하는지 쉽게 알 수 없다. 혹시 나중에 이 드라마를 보고 싶다면, 17화까지 보고, 다시 1, 2화를 보길 권한다. 처음에 이해하기 힘들었던 대사와 상황들이 이해되면서 '주염/조원주'라는 캐릭터를 다시 보게 될 것이다.
<대몽귀리>는 현재 아이치이 국제판에서 감상 가능하다. 한글 자막 퀄리티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얼마 전 스튜디오지니에서 한국 방영권을 획득했다. 한국 정식 서비스 일자는 미정.
'TV Sh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구령, 차시천하, 가남전 - 넷플릭스/티빙 중드 감상 (0) | 2025.01.13 |
---|---|
대봉타경인, 촉금인가, 천타도화일세개 - '24~'25 최신 중드 찍먹 감상 (0) | 2025.01.09 |
금수안녕, 칠야설, 춘화염 - '24 하반기 최신 중드 찍먹 감상 (4) | 2024.11.04 |
묵우운간, 석화지, 장락곡 - 티빙/웨이브 중드 찍먹 리뷰 (4) | 2024.10.07 |
류주기, 유수초초, 안심기 - '24 신작 중드 찍먹 리뷰 (3) | 2024.10.06 |